티스토리 뷰

목차



    출처<네이버포토>

    1987 줄거리

    영화 "1987"은 1987년의 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입니다. 1987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이한열 열사의 희생, 그리고 이에 이어진 6월 민주화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1987은 1987년 1월 14일에 서울 경찰청 고문방에서의 충격적인 사건인 서울대생 박종철의 고문치사 사건으로 시작합니다. 이 사건을 은폐하려는 국가안전기획부와 이를 밝히려는 사람들 그리고 억울하게 죽은 박종철의 진실을 알리려는 그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장준환 감독은 이 사건을 촉발시킨 경찰, 조사를 담당했던 검사, 그리고 사건을 알리려는 기자들의 관점을 보여주며 사건의 진실을 서서히 밝혀냅니다. 이 사건을 이용하려는 정치권의 모습, 그리고 이를 은폐하려는 국가안전기획부의 모습도 그려지고 있습니다. 이 사건이 진실이 공개되면서 국민들의 분노는 점점 높아져 갔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6월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학생들, 노동자들, 그리고 일반 시민들이 한데 모여 거리로 나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심리상태와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를 자세히 보여주는 것으로 이 영화의 주요 키포인트입니다. 감독은 각각의 인물들이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을 섬세하게 보여주며 당시의 고민과 갈등, 그리고 희망을 잘 보여줍니다. 이런 모든 사건들이 결국에는 6월 29일 직선제를 받아들일 것이라는 선언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는 단지 시작일 뿐이었고 이후 국민들의 민주화 운동은 계속되게 됩니다. 영화 "1987"은 당시의 역사적인 순간들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준환 감독의 섬세한 연출과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이 결합된 이 영화는 그 당시를 직접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그 시기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는 영화입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한국의 민주화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당시 정권의 인권 침해와 고문 문제를 전국적으로 알리게 되어 국민들의 분노를 촉발시키며 6월 민주화 운동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학생인 박종철은 국가안전기획부에 체포되었습니다. 그는 학교에서 활동하던 동안 노동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고 이로 인해 당시의 군사정권에게 체포당했습니다. 체포된 박종철은 국가안전기획부의 고문을 받게 되는데 그는 물고문을 당하면서 심장 마비로 사망하게 됩니다. 당시 정권은 사망에 대한 진실을 숨기려고 했습니다. 국가안전기획부는 박종철이 고문으로 인해 사망한 사실을 숨기고 그의 사망 원인을 '갑자기 찾아온 병'으로 발표하려 했습니다. 박종철의 시신을 조작하여 고문의 흔적을 없애려 했습니다.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면서 주요 매체들은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국민들 사이에 큰 충격과 분노가 퍼지게 되었고 이는 6월 민주화 운동의 시작점이 됩니다. 이 사건은 당시 군사정권의 인권 침해와 고문 문제를 대중에게 알리게 되어 국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촉발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은 더 이상의 독재를 받아들이지 않고, 민주화를 요구하였습니다. 이는 결국 6월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 운동은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건이 됩니다.

    이한열 열사

    이한열 열사는 1987년의 6월 민주화 운동의 발단과 힘을 불어넣은 중요한 인물로 그의 희생은 민주주의의 새 역사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한열은 1966년 출생으로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재학 중이던 1987년 6월 9일에 계엄군에게 투척된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였습니다. 이한열은 국민들에게 민주주의의 상징이자 투쟁의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그의 사망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당시 대한민국은 박종철 고문 사망사건 이후 국민들의 분노가 고조되고 있었습니다. 이한열의 사망은 이미 고조되어 있던 국민의 분노를 더 불태웠습니다. 이한열의 장례식은 전국적인 비난의 물결을 불러일으키며 1987년 6월 민주화 운동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그의 장례식에는 수십만 명의 시민들이 참석하였고 이후 이를 계기로 전국적인 민주화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이한열의 사망은 당시의 군사정권을 심각하게 흔들었습니다. 군사정권은 민주화를 향한 강력한 요구에 저항할 수 없었고 이어지는 대규모 시위와 국제사회의 압력에 맞서지 못하였습니다. 이한열 열사의 희생은 민주주의의 가치와 의미를 우리에게 다시 한번 더 알려주면서 그 의미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반응형